1. COM(Component Object Model)
- MS사가 제시한 개체 모델
- 응용프로그램의 구성 요소화(Component화)로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을 높임
* 동일한 기능을 새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기능을 가져다 사용하자는 개념
- DLL과 같이 라이브러리 역할을 하지만 보다 융통성과 재사용성이 뛰어남
* DLL : 함수의 형태로 불러 사용
* COM : 개체의 속성(Property)과 메서드(Method), 이벤트(Event)를 이용
- 종류
* 컨트롤 Component
혼자서는 사용할 수 없고 다른 프로그램내에서 포함되어져 기능을 가짐
모양을 가짐
* 코드 Component (ActiveX DLL, ActiveX EXE)
모양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코드 형식으로 다른 프로그램을 뒷받침 해주는
프로그램
※코드 Component를 작성하려면 클래스에 대한 기반이 닦여 있어야 함
클래스는 모든 형태의 ActiveX Component를 작성하는데 중요한 기반
클래스를 알고 있을 경우, ActiveX의 절반은 배우고 들어가는 셈
2. DCOM(Distributed COM)
COM을 네트워크에서도 가능하도록 확장한 것
COM은 같은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반면, DCOM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에 있는
개체도 이용할 수 있음
요즈음 COM하면 일반적으로 DCOM으로 이해함
3.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COM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어떤 개체를 다른 프로그램에 제공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의 개체를
이용하기도 하는 개체 공유기술
4. ActiveX
OLE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데스크 탑에서만 응용된 객체 공유의 기능을 인터넷으로 확장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