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신

토플로지란?

토플로지란?

● 네트워크 토플로지란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토플로지를 이해할 때 도로, 강, 철도, 도시등을 보여주는 지도를 생각하면 된다.
지도를 보면 여러 물리적위치의 관계를 볼수있다. 네트워크 토플로지 다이어그램도 지도와 비슷하게 보인다. 네트워크 토플로지 다이어그램을 이용해서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1. 성형 네트워크 (Star Network)
성형 네트워크에서는 여러대의 컴퓨터와 주변기기가 점 대 점 (point to point) 구성방식으로 중앙 컴퓨터, 즉 호스트 컴퓨터에 열결되어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성능이 강력한 미니 컴퓨터나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말한다. 컴퓨터 사이의 정보통신은 호스트 컴퓨터를 통해서 라우팅된다. 여러부서를 두고있어서 데이터베이스와 파일에 대한 중앙 집중식 접근이 필요한 기업들이 성형네트워크를 많이 사용한다. 성형네트워크의 단점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의존성이다. 모든 정보통신이 호스트 컴퓨터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스트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으면 네트워크 동작이 중지된다


2. 버스형 네트워크 (Bus Network)
버스형 네트워크에는 호스트 컴퓨터가 없다. 그 대신 모든 컴퓨터가 버스라고 하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버스의 전구간을 통신신호가 통과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컴퓨터는 그 신호가 수신되는 컴퓨터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호스트 컴ㅍ터가 없기 떄문에 컴퓨터 한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도 다른컴퓨터들 사이의 통신에는 문제가 없다. 버스형 네트워크는 동축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사용하며 성형 네트워크보다 비용은 적게 들지만 효율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3. 링형 네트워크 (Ring Network)
링형 네트워크에는 호스트 컴퓨터가 없고 각 컴퓨터는 원형으로 다른 두대의 컴퓨터와 연결되어있다. 통신신호는 발신 워크스테이션에서 수신지로 한방향으로 통과하는데 컴퓨터 한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통신신호는 그 컴퓨터를 우회한다. 그러나 링형 네트워크는 두개의 컴퓨터가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려는 경우, 메세지 전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링형 네트워크는 앞의 두가지 네트워크만큼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4. 토큰링형 네트워크 (Token Ring Network)
두 개이상의 신호가 동시에 전달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서 토큰링형 네트워크가 개발되었다. 토큰링형 네트워크에서는 토큰이라는 비트의 패턴이 원형을 이루며 한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한대의 컴퓨터가 토큰을 갖고 있을 때에만 그 컴퓨터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토큰링형 네트워크는 다른 네트워크보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효율성은 그만큼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