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휘트스톤 브리지
[그림-1]
(2) 평형조건
위의 그림에서 검류계(檢流計; Galvanometer) G (또는 검류계 대신 저항을 놓기도 함)에 흐르는 전류가 0으로 되었을 때 휘트스톤 브리지는 평형이 되었다고 하며 평형조건은
이다.
(3) 미지저항값 측정
만약 휘트스톤 브리지가 평형이고 R3가 미지저항이면
으로 미지저항의 값을 알 수 있다.
* 참고
·교류브리지
[그림-1]에서 R1, R2, R3, R4 대신 Z1, Z2, Z3, Z4 로하고 검출기 G에 흐르는 전류 I=0 이라면,
가 되고,
라고 하면 (1)식이 성립되려면,
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휘트스톤 Charles Wheatstone
1802.2.6~1875.10.19
영국의 물리학자·발명가. 글로스터 출생. 14세 때 런던에서 악기제조업에 종사하면서 악기의 고안이나 음향학 연구에 열중, 1829년 아
코디온의 일종인 콘서티나를 발명하였다.
1834년 런던대학 킹스 칼리지 실험물리학 교수가 되어 전기의 속도를 회전거울을 써서 측정하는 연구를 발표하였고, 35년 방전(放電)
에 의해 기화(氣化)된 금속의 백열증기 스펙트럼 속에 휘선(輝線)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37년 W.F.쿡과 공동으로 오침전신기(五針電信機)를 완성하고 특허를 얻었다. 이것은 영국 철도에서 실용화한 최초의 전신기이다. 그 후
에도 전신기의 자동화, 해저케이블로의 응용에 힘썼다.
전기저항 측정기인 휘트스톤브리지는 S.H.크리스티가 창안한 것(1833)을 개량해서(41) 실용화한 것이다. 전자기(電磁氣)를 응용한 전
기시계도 발명하였다(40).
·쿡 William Fothergill Cooke
1806.5.4~1879.6.25
영국의 전기기술자. 에든버러·파리·하이델베르크에서 교육받았다. 독일에서 P.실링칸슈타트(1786∼1837)의 전신기(電信機)를 알게 되
어, 이것이 영국의 철도 건설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는 확신으로 귀국, 실험물리학자 C.휘트스톤과 공동으로 ‘5침전신기(五針電信
機)’를 발명하여 특허를 받았다(1837).
실험을 거쳐 이듬해인 1838년 패딩튼과 웨스트드레이튼 사이(20 km)에 최초의 전신선을 가설하여 전신업무를 개시하였다.
이 후 급속히 전신이 보급되었지만, 쿡과 휘트스톤의 협력이 오래 계속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신기의 발달이 지연되었다고 한다.
그 후 두 사람은 더욱 개량된 ‘단침전신기(單針電信機)’를 완성했으나, 훗날에 전신 발명의 최초의 영예를 누가 차지할 것인가에 대하여
휘트스톤과의 격렬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검류계(檢流計) galvanometer
미소전류(微少電流)·전압·전기량을 측정하는 계기. 갈바노미터라고도 한다. 직류용과 교류용으로 구분된다.
직류용은 강한 영구자석의 자극(磁極) 사이에 가동 코일을 달아 놓으면, 코일에 미소전류가 흐를 때 코일 자체에 힘이 생겨서 코일이 편
위(偏位)하므로, 이 편위로 전류의 유무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검류계를 가동코일형 검류계라고 한다.
가동 코일에 평면거울을 장치하고, 이 거울에 빛을 비추어 반사하는 빛의 위치를 관측함으로써 미소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을 반조형(反照型) 검류계라고 한다. 반조형은 감도가 가장 좋아서 10^-10 A 정도의 전류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시험에 쓰
인다. 그러나 이 형은 전류에 의한 힘 이외의 원인으로, 즉 건물의 미동, 그리고 사람이나 차의 움직임 등에도 진동이 생기므로 검류계를
놓는 장소는 안정된 대상(臺上)이 아니면 안 된다 반 형 검류계는 지나치게 예민해서 취급하기 까다로우나 이보다 간편한 것으로 지
네이버 블로그 :: 포스트 내용보기 페이지 2 / 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s1975&logNo=100012979135&begin... 2010-03-15
덧글 4개 엮인글 쓰기 이 포스트를..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232C 2006.04.20
[펌] 패러데이 법칙과 렌츠의 법칙 2005.06.06
패러데이 (1) 2005.06.06
과학자 2005.06.06
[펌] DC 모터의 가변속 제어법 2005.06.06
1 2 3 4 5 6 7 8
놓는 장소는 안정된 대상(臺上)이 아니면 안 된다. 반조형 검류계는 지나치게 예민해서 취급하기 까다로우나, 이보다 간편한 것으로 지
침형(指針型) 검류계가 있다.
지침형은 가동코일에 지침을 장치하고, 지침의 움직임으로 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 10^-7 A 정도의 전류를 검출할 수 있어 전류와 전
압, 그리고 전기저항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교류용 검류계에는 수십 내지 수백 Hz용의 진동(振動)검류계가 있다. 이것은 가동코일형이며, 10^-8 A 정도의 미소한 교류전류를 검
출할 수 있다. 수백 Hz 이상이 되는 교류의 미소전류검출은 검류계가 아닌 수화기(受話器)나 오실로그래프 등이 사용된다.

[그림-1]
(2) 평형조건
위의 그림에서 검류계(檢流計; Galvanometer) G (또는 검류계 대신 저항을 놓기도 함)에 흐르는 전류가 0으로 되었을 때 휘트스톤 브리지는 평형이 되었다고 하며 평형조건은
(3) 미지저항값 측정
만약 휘트스톤 브리지가 평형이고 R3가 미지저항이면
* 참고
·교류브리지
[그림-1]에서 R1, R2, R3, R4 대신 Z1, Z2, Z3, Z4 로하고 검출기 G에 흐르는 전류 I=0 이라면,
·휘트스톤 Charles Wheatstone
1802.2.6~1875.10.19
영국의 물리학자·발명가. 글로스터 출생. 14세 때 런던에서 악기제조업에 종사하면서 악기의 고안이나 음향학 연구에 열중, 1829년 아
코디온의 일종인 콘서티나를 발명하였다.
1834년 런던대학 킹스 칼리지 실험물리학 교수가 되어 전기의 속도를 회전거울을 써서 측정하는 연구를 발표하였고, 35년 방전(放電)
에 의해 기화(氣化)된 금속의 백열증기 스펙트럼 속에 휘선(輝線)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37년 W.F.쿡과 공동으로 오침전신기(五針電信機)를 완성하고 특허를 얻었다. 이것은 영국 철도에서 실용화한 최초의 전신기이다. 그 후
에도 전신기의 자동화, 해저케이블로의 응용에 힘썼다.
전기저항 측정기인 휘트스톤브리지는 S.H.크리스티가 창안한 것(1833)을 개량해서(41) 실용화한 것이다. 전자기(電磁氣)를 응용한 전
기시계도 발명하였다(40).
·쿡 William Fothergill Cooke
1806.5.4~1879.6.25
영국의 전기기술자. 에든버러·파리·하이델베르크에서 교육받았다. 독일에서 P.실링칸슈타트(1786∼1837)의 전신기(電信機)를 알게 되
어, 이것이 영국의 철도 건설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는 확신으로 귀국, 실험물리학자 C.휘트스톤과 공동으로 ‘5침전신기(五針電信
機)’를 발명하여 특허를 받았다(1837).
실험을 거쳐 이듬해인 1838년 패딩튼과 웨스트드레이튼 사이(20 km)에 최초의 전신선을 가설하여 전신업무를 개시하였다.
이 후 급속히 전신이 보급되었지만, 쿡과 휘트스톤의 협력이 오래 계속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신기의 발달이 지연되었다고 한다.
그 후 두 사람은 더욱 개량된 ‘단침전신기(單針電信機)’를 완성했으나, 훗날에 전신 발명의 최초의 영예를 누가 차지할 것인가에 대하여
휘트스톤과의 격렬한 논쟁이 계속되었다.
·검류계(檢流計) galvanometer
미소전류(微少電流)·전압·전기량을 측정하는 계기. 갈바노미터라고도 한다. 직류용과 교류용으로 구분된다.
직류용은 강한 영구자석의 자극(磁極) 사이에 가동 코일을 달아 놓으면, 코일에 미소전류가 흐를 때 코일 자체에 힘이 생겨서 코일이 편
위(偏位)하므로, 이 편위로 전류의 유무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검류계를 가동코일형 검류계라고 한다.
가동 코일에 평면거울을 장치하고, 이 거울에 빛을 비추어 반사하는 빛의 위치를 관측함으로써 미소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을 반조형(反照型) 검류계라고 한다. 반조형은 감도가 가장 좋아서 10^-10 A 정도의 전류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시험에 쓰
인다. 그러나 이 형은 전류에 의한 힘 이외의 원인으로, 즉 건물의 미동, 그리고 사람이나 차의 움직임 등에도 진동이 생기므로 검류계를
놓는 장소는 안정된 대상(臺上)이 아니면 안 된다 반 형 검류계는 지나치게 예민해서 취급하기 까다로우나 이보다 간편한 것으로 지
네이버 블로그 :: 포스트 내용보기 페이지 2 / 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s1975&logNo=100012979135&begin... 2010-03-15
덧글 4개 엮인글 쓰기 이 포스트를..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232C 2006.04.20
[펌] 패러데이 법칙과 렌츠의 법칙 2005.06.06
패러데이 (1) 2005.06.06
과학자 2005.06.06
[펌] DC 모터의 가변속 제어법 2005.06.06
1 2 3 4 5 6 7 8
놓는 장소는 안정된 대상(臺上)이 아니면 안 된다. 반조형 검류계는 지나치게 예민해서 취급하기 까다로우나, 이보다 간편한 것으로 지
침형(指針型) 검류계가 있다.
지침형은 가동코일에 지침을 장치하고, 지침의 움직임으로 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 10^-7 A 정도의 전류를 검출할 수 있어 전류와 전
압, 그리고 전기저항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교류용 검류계에는 수십 내지 수백 Hz용의 진동(振動)검류계가 있다. 이것은 가동코일형이며, 10^-8 A 정도의 미소한 교류전류를 검
출할 수 있다. 수백 Hz 이상이 되는 교류의 미소전류검출은 검류계가 아닌 수화기(受話器)나 오실로그래프 등이 사용된다.